1. 기준 설정: 반응형 디자인을 시작할 때 본인의 기준을 명확히 설정합니다. 이는 디자인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해상도 대응: 다양한 해상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디자인합니다. 고해상도와 저해상도 모두에서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에 맞춘 디자인 요소를 고려합니다.
  3. 분기점 설정: 디바이스마다 또는 화면 크기에 따른 변환점마다 분기점을 설정해 최적화를 진행합니다. 이러한 분기점은 일반적으로 브레이크포인트라고 불리며, 각 디바이스나 화면 크기에 맞춘 레이아웃과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4. 디바이스별 디자인 고려: PC와 모바일을 포함한 각 디바이스에서 디자인이 어떻게 보여질지를 고민하고 설계합니다. 각 디바이스의 특성과 사용 패턴을 고려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공통 요소 통일화: PC와 모바일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디자인 요소를 최대한 일치시키고, 이를 가이드라인으로 문서화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 디자인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유지합니다.
  6. 협업 및 소통: 반응형 디자인의 공통 가이드는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퍼블리셔도 함께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퍼블리셔와의 협업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디자인의 구체적인 설계 방안을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성을 명확히 합니다.

이러한 개념들을 기반으로 반응형 디자인을 구현하면, 다양한 디바이스와 해상도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디자인은 단순히 레이아웃의 변경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의 최적화를 목표로 해야 합니다.

 


 

반응형 디자인에서 분기점(브레이크포인트) 설정은 중요한 단계입니다. 대부분의 분기점은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아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레이크포인트와 예시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인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1.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폰)
    • 최소 화면 크기: 320px
    • 최대 화면 크기: 480px
    • 예시: iPhone SE, Android 작은 화면 디바이스
  2. 태블릿 디바이스
    • 최소 화면 크기: 481px
    • 최대 화면 크기: 768px
    • 예시: iPad Mini, Samsung Galaxy Tab
  3. 작은 화면의 데스크탑 / 큰 화면의 태블릿
    • 최소 화면 크기: 769px
    • 최대 화면 크기: 1024px
    • 예시: iPad Pro, 작은 노트북 화면
  4. 데스크탑 디바이스
    • 최소 화면 크기: 1025px
    • 최대 화면 크기: 1200px
    • 예시: 일반적인 노트북, 작은 데스크탑 모니터
  5. 큰 화면의 데스크탑 디바이스
    • 최소 화면 크기: 1201px
    • 예시: 고해상도 데스크탑 모니터, 대형 디스플레이

 

/* 모바일 (스마트폰) */
@media (max-width: 480px) {
    body {
        background-color: lightblue;
    }
    .container {
        padding: 10px;
    }
}

/* 태블릿 */
@media (min-width: 481px) and (max-width: 768px) {
    body {
        background-color: lightgreen;
    }
    .container {
        padding: 20px;
    }
}

/* 작은 화면의 데스크탑 / 큰 화면의 태블릿 */
@media (min-width: 769px) and (max-width: 1024px) {
    body {
        background-color: lightyellow;
    }
    .container {
        padding: 30px;
    }
}

/* 데스크탑 */
@media (min-width: 1025px) and (max-width: 1200px) {
    body {
        background-color: lightcoral;
    }
    .container {
        padding: 40px;
    }
}

/* 큰 화면의 데스크탑 */
@media (min-width: 1201px) {
    body {
        background-color: lightgrey;
    }
    .container {
        padding: 50px;
    }
}
반응형

아이를 이해하기 위해 제일 먼저 알게된 엄마의 언어는 '~~구나' 였다.

 

아이가 과자를 한통을 다 달라고 떼쓰길래

'OO이가 과자를 다 먹고 싶었구나'

'응'

 

대답이 나오는데... 그렇다고 한통을 다 줄 수도 없고,

이해하지만 안되 그러는 것도 놀리는 것 같았다.

 

그래서 '이 과자 먼저 다 먹으면 그 다음에 하나씩 줄께' 했다.

하지만 한통을 다 받을 줄 알았던 아이는 울음을 터트렸고

집에 오는 차 안에서부터 주차 할때까지 계속 우는 바람에 이렇게 하는게 맞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유투브에서 추천받은 책 '엄마의 말 공부: 코로나 시대, 일상에서 써먹는 엄마..'을 읽기 시작했다.

너무 좋은 책이였고 나는 이 책을 e-book 으로 너무 잘 듣고 있으면서,

아웃풋을 위해 내용 정리하기로 했다.

 

 

더보기

<엄마의 전문용어 5가지>

 

1. 힘들었겠다

2. 이유가 있을 거야

3. 좋은 뜻이 있었구나

4. 훌륭하구나

5. 어떻게 하면 좋을까?

 

 

3. 좋은 뜻이 있었구나

-도와주려고 그랬구나

-잘되기를 바랐구나

-잘하고 싶었구나


 

4. 훌륭하구나

 

4-1. 달라지기를 바라는 아이들의 성격 특징

더보기

산만하다, 소심하다, 겁이 많다, 우유부단하다, 까다롭다, 고지식하다, 집중을 못한다, 책임감이 없다, 질투심이 많다, 비관적이다, 성급하다, 충동적이다, 느리다, 둔하다

4-2. 24가지 성격 강점

더보기

창의성 / 호기심 / 개방성 / 학구열 / 통찰 / 사랑 / 친절 / 사회지능 / 용감함 / 끈기 / 진정성 / 활력 / 관대함 / 겸손 / 신중함 / 자기조절 / 책임감 / 공정성 / 리더십 / 감상력 / 감사 / 낙관성 / 유머감각 / 영성

아이에게 자신의 성격의 강점을 체크하게 해주며 단점을 강점으로 바라 보고 지지하고 격려해주기.


 

5.어떻게 하면 좋을까?

 

아이 관련 책을 읽으면서 키워드로 보았던 것은 '놀아주기' 였다.

하지만 아이와 놀려고 해야하는데 나도 모르게 학습 시키고자 하는 마음이 앞서고 흥미를 잃어버린 아이는

다른 놀이로 관심을 돌리게 될 때가 있다. 놀아주기란 무엇일 까에 대한 고민이 이 부분에 나와있어서 좋았다.

 

- 아이의 질문, 관심에 초점 두자

- 아이에게 물어보는 습관을 가지자

  넌 어떤 게 좋아?/ 이럴 땐 어떻게 하고 싶니? / 엄마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

 

더보기

(1) 집에 가야하는 데 교통비가 없다. 걸어가기엔 너무 먼 거리야. 어떻게 하지?

(2) 로또 10억에 당첨된다면 그 돈을 어떻게 사용할 생각이야?

(3) 엄마가 아파서 수술을 해야하는 데 돈이 없다. 지금 나는 중학생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4) 요즘 내내 되는 일이 하나도 없다. 이때 드는 생각은?

(5) 언젠가 아빠와 둘이서만 꼭 가보고 싶은 곳은?

(6) 아빠가 나에게 해준 말 중에 가장 좋았던 말은?

(7) 내가 나를 사랑하는 마음을 점수로 매긴다면?

(8) 앞으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세 가지만 말한다면?

(9) 아빠가 도와주기를 바라는 점은?

(10) 친구가 함께 학교를 땡땡이 치자고 말한다면?

 


 

A. 아이의 긍정적인 의도 파악하기

더보기

- 동생이 때렸지만 때리지 않으려 노력했던 자식을 깨닫기

- 공부가 싫다고 외쳤지만 사실은 자신도 공부를 잘하고 싶다는 마음을 깨닫기

- 무심코 한 행동이 남을 도와주고 배려하는 행동임을 깨닫기

 

A-1 말 속에 숨은 비밀

 

아이의 긍정적 의도 파악하고 말하기 

** (1) 잘하고 싶었구나 (2) 힘들어도 참으려고 했구나. (3)기쁘게 해주고 싶었구나

(4)잘되길 바랐구나 (5) 도와주려고 그랬구나.

더보기

오빠랑 재미있게 놀고 싶었구나, 그런데 져서 속상했어.

가위바위보를 다시 하고 싶었구나, 그런데 오빠한테 말하는 방법을 몰랐어.

오빠가 양보해 주기를 바랐구나. 오빠가 네 마음을 몰라줘서 서운했구나

그런데 제대로 말하지 않으면 오빠도 네 마음을 알 수가 없어.

더보기

동생하고 놀아주려고 했는데 또 우기기만 해서 속상했겠다.

동생이 때려도 끝까지 참아주려고 했구나

싸우지 않고 끝내려고 자리를 피하다니 정말 대단하다.

더보기

원하는 블록 조각을 찾아 계속 레고는 뒤지면, "딱 맞는 조각을 찾아서 잘 만들고 싶구나"

만들다 다시 망가뜨리면, "더 멋지게 만들려고 그러는구나"

동생이 누나 것을 보고 조각을 가져갔다고 말하면 "저 조각으로 더 멋지게 만들고 싶구나"

누나가 양보하면 "동생에게 양보해주기로 마음 먹었구나, 정말 훌륭하다"

 

좋은 의도를 파악하는 것 중 일화

 

A-1-a 타오싱즈의 4개의 사탕 이야기 (사탕 4개에 담긴 상)

 

1. 이것은 네가 시간을 맞춰왔기 때문에 주는 상이다.

2. 내가 너에게 친구를 때리지 말라고 했을 때 즉시 행동을 멈추었기 때문에. 이건 너가 나를 존중하는 의미이니.

3. 내가 알아보니 네가 그 친구를 때린 것은 놀이 규칙을 지키지 않고 여학생을 괴롭혔기 때문이더구나. 네가 매우 정직하고 선량하며 나쁜 사람과 싸울 수 있는 용기가 있음을 보여주니 너에게 상을 주는 것이야.

4. 네가 네 잘못을 정확히 알기에 또 사탕을 주는 거야. 이게 마지막인게 안타깝구나.

 


 

B. 올바른 생활습관 잡기

 

B-1. 기상

 

(1) 아이가 기분 좋게 눈을 떠야 한다.

- 좋아하는 이야기/음악을 들려주기 

 

(2) 오늘 하루 뭔가 기대할 일을 만든다.

- 좋아하는 급식 메뉴, 오늘은 ~하는 날

- 온라인 수업 끝나고 재밌게 놀자, 힘들면 쉬는 시간에 푹 쉬어 정도 말도 괜찮다.

 

(3) 엄마의 사랑을 느끼게 한다.

- 어쩌면 이렇게 자는 모습도 예쁘기만 하니? 엄마도 너랑 같이 더 자고 싶어. 엄마가 주물러줄게, 조금 더 자

더보기

- 온라인 수업도 학교 갈 때처럼 준비하는 게 원칙이야. 다만 학교 가는 시간이 줄어드니까 20~30분 정도 늦게 일어나는 건 괜찮아. 주말엔 기분 좋을 정도로 늦잠자도돼.

 

- 일어나고 싶은데 너무 피곤하구나, 씩씩하게 일어나서 신나게 유치원 가고 싶은데 눈이 안 떨어지지.

 

- 10분 더 잘 수 있어. 10분 동안 푹 자. 이제 5분 더 잘 수 있어. 시간이 왜 이렇게 빨리 가니.

벌써 시간이 다 되어 버렸어.

 

B-2. 아침밥

 

(1) 아침 식사 메뉴 미리 정하기

(2) 식사 시간 지키게 한다 - 8시에 밥을 먹으면 10분동안 다 먹어야 해. 지킬 수 있겠어?

(3) 밥 먹고, 이 닦기 함께 하기

 

더보기

- 어제 있었던 아이의 행동 칭찬하기

- 걱정되는 점에 대해 서로 다양한 의견 제시하기

- 어떻게 하면 좋을까 라는 의견 질문하기

- 아이가 웃을 수 있는 유머 준비하기

- 수수께기나 퀴즈, 재미있는 세상 소식 들려주고 이에 대한 생각 나누기

- 아이의 말과 행동에 지지하고 격려하고 공감하기

- 모든 대화에서 엄마의 전문용어 사용하기

 

B-3. 자기충족적 예언 외치기

더보기

나는 이런 사람이다.

- 나는 정직한 사람이다.

- 나는 언제나 밝게 웃는다.

- 나는 용기 있게 말할 줄 아는 사람이다.

- 나는 할 수 있다.

- 나는 참을성이 있다.


 

C. 환경

 

- 책상 위는 깨끗하게. 

- 스마트폰, TV에서 멀어지기. (부모가 목적있을 때만 기기를 사용하는 모습)

- 걱정 인형/ 걱정 시간을 만들자.

- 선생님과 친구에게 미리 도움 청하기

- 오늘 하루 기대할 일을 만든다 

 


D. 숙제도 공부도 즐겁게

 

(1) 숙제를 언제하고 싶은지 아이가 결정한다.

(2) 숙제하는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협상한다.

(3) 숙제할 때 어려운 점을 미리 질문한다.

(4) 엄마가 도와줄 일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협상한다.

(5) 힘들어하는 아이의 마음에는 격려가 필요하다.

(6) 아이의 강점을 찾아 자주 말해준다.

(7) 하기 싫은 마음을 참고 숙제와 공부를 하는 아이의 긍정적인 의도를 찾아 말해준다.

더보기

- 숙제의 분량을 나누어 조금씩 두세 번에 걸쳐 하게 한다.
- 검사 할 때 아이가 스스로 하게 한다.
- 숙제에서 틀린 것을 찾으면서 지시하지 말고, 고치고 싶은지 질문하고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 숙제를 다 못했을 경우 화내거나 비난하지 말고 아이의 걱정과 힘듦을 공감하고 다독여 준다.
- 다음 날 아침. 숙제 할 수 있는 시간만큼 아이를 일찍 깨우며 혹시 남은 숙제를 다하고 싶은지 질문한다. 이때도 선택은 아이가 하게 한다.

 

반응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더듬는 아이 - 치료 끝  (5) 2024.09.23
말을 더듬는 아이  (2) 2024.08.30
언어 치료 진료 기록 24.05  (1) 2024.05.23
언어 치료 진료 기록 24.03~24.04  (1) 2024.05.23
언어 치료 진료 기록 24.01~24.02  (1) 2024.05.23

1. 이미지 배경이 너무 밝으면 흰 글씨가 안보이기 떄문에 이미지에 틴트 효과

.container-item1 {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rgba(0,0,0,0.4),rgba(0,0,0,0.4)), url(img-1.jpg);
background-size: cover;
}



2. 가로 2열 배치

<div class="container-bg">
    <div class="container1">
    <div class="container2">
    <div class="container3">
    <div class="container4">
</div>
<div style="clear:both;"></div>

.container-bg{}
.container1{float:left; width:50%}

@media screen and (max-width:992px){
.container1{ float:none; width:100%;}
}
반응형

24-05-01
조음연습 /ㄷ/ /ㄸ/ /ㄱ/ /ㄲ/ 음소 어후 ㅣ2단어 조합하여 표현하기
(예: 여기 있다/없다, 두 개 꺼내)
/ㅈ/ 무의미 1음소 연습 (소리인식 및 조음방법 익히기)
(예: 줘~~, 지~~, 자~~ 10회 중 2번 정조음 산출함.

24-05-08
'있다/없다' 표현하기
'똑같다' 표현하기
숨겨진 사물 찾기, 빠진 물건 찾기, 색 배열하기 등 활동 진행, 자발적으로 '사물명+있다/없다' 표현 가능하며,
색 배열(순차적 개념이해)하면서 '똑같다'표현 연습함.
젠가 게임, 게스 후 게임 활동을 통해 상위언어(동물)와 하위 사물 명명하기 연습함.
조음연습 /ㅈ/ 음소 연습 (지워~~, 찍어)

24-05-13
(있다/없다) 두 단어 조합으로 표현하기 : 빠진 것 찾기, 필요한 물건(사물의 기능알기) 찾아서 표현하기 연습함.
종성 /ㅁ/ /ㅇ/ 변별 및 모방하기
'곰, 공' 듣고 고르기 (곰과 공 사물제시, 따라 말하기 연습.

24-05-20
조음연습 : 경구개파찰음 /ㅈ/ /ㅊ/
'같이(가치), 과자, 돼지, 지워, 지~~~줘'
정조음 산출 /지/ /즈/ /줘~/ 에서 가능함.

2 단어 조합하여 말하기 활동 '행위자+행위/실체+행위
'있다/없다/똑같다' 표현하기 연습, 발음 정확하고 사물명 넣어 2단어로 표현하기(언어적 모델링 제시)

반응형

24-03-04
자음을 포함한 발성, 단어 표현이 나타남. 자발적인 단어 산출을 유도하였을 때 빠방, 이거 등 표현을 하나 한정적이며 모델링을 해주어야 함.

24-03-06
/ㄷ/계열음 단어 : 닫아(다다), 됐다(대따), 또, /똑똑/
/ㄱ/계열음 단어 : 이거, 여기, 가다(가), 바꿔, 내꺼, 먹어, 코~~자
/ㅂ/계열음 단어 : 밥, 아파, 뱀
/ㅎ/계열음 단어 : 하마, 하나, 호~~(불면서)

자발어에서 오류 보이나 자극모방에서 나타나는 단어들이 늘어남.

24-03-11
차분해지고 상호작용, 의도소통 의도 및 기능 향상됨, 스스로 원하는 선택하고 요구하고, 순서지키고, 모방행동과 음성모방 많아짐.
아동의 연령 및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어휘 산출 연습시킴.
(발음 명료도 향상을 목표로 자극단어(아동발음표기) 예) 먹어(머더), 이거(이더), 치카(치따), 두 개(두 대) -> /ㄱ/음소 산출 가능하나 치조음화 함.
(소리 인식하기 및 놀이상황에서 정조음 산출 유도)

24-03-13
착석 및 주의집중력 향상, 발화 시 상대방의 입을 보면서 따라말하기 가능(이~~거, 먹~~어, 내~~꺼, 여~~기)
하지만 자발어에서는 연구개음을 양순음으로 대치하고 오조음 많이 보임. 소리 인식 및 변별 연습 필요함.

24-03-18
조음 /ㄴ/ /ㄷ/ /ㄱ/ /ㅎ/ 음소 명료도 향상 됨. 언어재활사가 포인팅 하는 사물을 명명('하마, 컵, 양, 멍멍이)하거나 따라말하기에서 (됐다, 넣어, 닫아, 또, 먹어, 바꿔, 큰거) 명료하게 발음됨.

24-03-20
발화 시 연구개음을 주로 양순음과 치조음으로 나타남 (먹어->머버, 이거->이버/이더)
조음 /ㄴ/ /ㄷ/ /ㄱ/ 계열음소 단어 연습. (내꺼, 또, 먹어, 이거, 여기, 바꿔, 닫아, 됐다, 있다, 없다, 넣어, 똑똑)

24-03-25
연구개음 /ㄱ/계열음소 연습
어휘 : 이거, 여기, 내꺼, 바꿔, 먹어, 컵, 코~(자), 까까, 치카~~
연구개음이 양순음이나 치조비음, 치조파열음화함. 끊어서 1음절씩 발음은 정조음 산출 많아졌으나 단어에서 오류 빈도 높음.

24-03-27
표현 어휘 확장 /ㄱ/ /ㄷ/ /ㅈ/ 계열음소
먹어, 이거, 여기, 나, 내가, 바꿔, 타, 개, 기린, 기차, 칙칙폭폭, 누구, 끼어, 컵
스스로 '여기, 나, 누무(누구), 이~~거, 머~~거 표현함. 보고 따라말하기, 듣고 소리 수정하기 가능하고 조음명료도 향상됨.

24-04-01
/ㄱ/음소 단어, 종성 /ㅁ/연습함
'여기, 이거, 먹어, 아기, 바꿔, 내꺼, 한개, 두개, 코~~', 종성 /ㅁ/ 곰,뱀,감
자발어에서는 단어가 연결되지 못하고 끊어서 '머~~거, 이~~거'로 발화하며, 곰은 '보'로 연구개음이 양순음화됨,
듣고 보고 모방하면서 정조음 산출 유도.

24-04-03
질문에 대답하기 : 누구, 무엇, 어디
스스로 질문하기 : 무엇, 누구
어휘 /ㅂ/ /ㄴ/ /ㄷ/ /ㄱ/ 계열음 단어 연습
/ㅈ/ 1음소 연습
'이거, 여기, 내꺼, 바꿔, 또, 됐다, 먹어, 많이, 줘~~, 자~~, 초~~'
'이거, 먹어, 어기(여기), 또, 나, 됐다, 없다' 스스로 단어 붙여서 말하기 가능하며, 내~꺼(소유개념), 바~꿔(물건 주고받기 인식) 연습함.
경구개파찰음 /ㅈ/ 음소는 /줘~~/ /자~~/ /지~~/ 소리를 들려주고 반응 유도함.

24-04-08
어휘연습 : 먹어, 바꿔, 내꺼, 바나나
구 연습 : 이거 먹어, 딸기 여기 넣어
질문하기 : 이거 뭐 야~~~? 연습
지시어 '이거' '나' 표현 많아짐

24-04-15
아동 스스로 놀잇감이나 활동을 선택 '이거' 하려고 하며, '또'라고 말하면서 현재 하는 활동을
반복해서 하려고 함.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의사를 표현하면서 타협 거부하고 고집이 늘었음.

24-04-17
조음명로도 향상 되어 /ㄱ/ /ㄷ/ 계열 음소 산출 시 발음이 정확해짐, '또, 있다, 없다, 이거, 여기, 나, 나무' 자발어 가능하고
두 단어 조합(여기 있다, 이거 먹어, 밥 먹어, 여기 넣어' 표현 가능함. 모방발화 '띵똥(초인종), 치카(이닦기), 쥬스' 가능함.

24-04-22
어휘(단어)와 두단어 조합 연습
/ㅈ/ 무의미 1음소 연습.
'먹어, 이거, 바꿔, 따기(딸기), 포보(포도), 없다/있다, 두 개, 빵, 오이, 커(크다) 발화 가능함.
2~3음절에서 오류가 많아서 끊어서 연습함.

24-04-24
개념어 : '똑같다, 있다/없네' 표현하기
2개의 같은 색깔 또는 같은 사람(물건)을 찾아서 '똑같다'로 표현하기에서 이해는 가능하나 자발적으로 표현은 어려움.
3음절 단어는 생략됨(바나나-나나, 비행기-비기)
조음연습 : /ㅈ/음소 산출하기
/줘~~/ /과~자~~/ /지~워/ 조음점 잡아주면서 소리 인식 시킴.

24-04-29
'똑같다'표현 익히기(같은 사람, 그림, 색깔 등을 보고 '빨강 똑같다, 오이 똑같다' 모방가능함
조음연습 /ㅈ/ 물건명+줘~~ 유도.

반응형

24-01-03 언어지연으로 내원함
운동기능 지연은 없음
문장 표현 x
눈 마주침 ok
언어평가 시행

24-01-08 
SELSI 검사 수용언어 발달연령 26개월(30~40%ile), 표현언어 발달연령 19개월(<1%ile), 통합언어 발달연령 23개월(1~5%ile)로 평가됨.
통합언어 발달연령 -2SD 미만으로 전반적인 언어발달이 지연된 것으로 평가

24-01-10
'이거' '나' '아빠' '엄마' '먹어' '하마' 소리 모방은 가능하나, 의도적인 스스로 발화는 거의 보이지 않음

24-01-15
놀이 활동이나 제시하는 자극에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임. 순서나 물건 주고받기, 규칙 지키기에 대한 이해 부족함.
모방 발화 '이거' '여기' '나' '또' 가 많아지고 집중 시간이 늘어남.

24-01-17
착석 및 눈맞춤 유지하기 가능하며 요구 시 가리키기와 '출발' 표현이 많아짐. 
관심이 다양해지고 호기심이 많아졌지만 집중이 매우 짧고 흥미나 관심이 오래 유지하지 못하고 금방 전환됨.

24-01-29
주의 집중력이 좋아지면서 경청하기, 모방행동과 모방발화가 많아짐.
스스로 가리키기 가능하며, 요구 시 '이거'(이더) 표현 가능함.
종성 오류 보이고, 목소리가 작고 구강 개폐 시 입을 크게 벌리지 않음. 소리 인식은 가능하나 음운인식력이 부족함.

24-02-07
사물을 가리키거나 원하는 활동을 가리키기 가능하지만 음성은 '이~~~'로 표현함. 
소리 인식 어렵고 2음절 따라말하기 어려워 끊어서 연습시킴. 주고받기 많아졌고 차분하고 착석유지 가능해짐.

24-02-19
포인팅 및 지시어(이거,여기) 모방발화 가능하며, 원하는 물건이나 놀이활동 '나' 스스로 가리키기 가능함.
착석 및 착석유지하기, 주의집중, 경청하기, 모방행동 모방발화 많아짐. 순서 주고받기 시 자신을 가리키며 '나'표현 많아짐.
동물명+'배고파' 두 단어 조합 표현하기 연습 '배고파' 천천히 끊어서 모방 발화 가능함

24-02-21
스스로 착석 및 유지하기 가능함. 모방행동 모방발화(이거, 여기, 먹어, 바꿔, 내꺼), 자발어(나, 또, 까까, 얌얌, 밥) 많아짐.
동물 캐릭터는 소리 듣고 흉내내기 가능함, 가리키는 동물은 명명하거나 울음소리로 표현 가능함(야옹, 멍멍, 악어, 양, 음메~).

24-02-24
행동모방 및 음성모방 많아짐. 지시어 '이~~거' 또는 '여~~기' 연습 (자발어는 '이~~'로만 산출)
두단어 조합연습 : 동물명(울음소리)+배고파, 밥+먹어

24-02-25
가족 명명하기에서 '엄마' '아빠' '아기' 자발어로 표현 가능함.
'바(밥)' '까까' '얌얌' '출발' '하나둘셋' 자발어로 산출가능함.

24-02-28
지시어(이거,여기) 구분하여 사용하기(모방 발화는 보이나 자발어 사용은 어려움)
상호작용 활동 시 눈맞춤 유지와 입모양 보고 따라 말하기 많아짐. 조음은 양순음, 치조파열음, 연구개음 명로도 향상 됨.
성문음/ㅎ/ 발화 시 생략 보이나 하품과 한숨 등으로 소리 산출 유도하였고 정조음 산출 보임(소리인식, 변별 부족).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