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서비스가 아닌 사용자 관점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시하는 프로젝트 수행 절차 - 방법론
UI
서비스가 구체적으로 보여지는 형태, 정보의 배치 및 구성 - 디자인 대상
제일 처음하는 작업은 '정보를 구성하는 것'
UI는 우리가 만든 경험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의 전체적인 체계, 논리적인 구조, 검색방법, 결과 범위를 좁히기 위한 필터나 태그, 정보의 이름을 정하는 레이블링 작업
이용흐름(User flow)
회원가입, 로그인, 인증 등 서비스에서 이용흐름
인터렉션
상호작용, 제스처, 상태변화 디자인 등 동적인 작업
gui
사용자 경험에는 사회적 트렌드도 반영되므로 최신 유행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지만,
지나치게 트렌드만 고집해 오히려 전체적인 ux 품질은 떨어진 서비스를 자주 접하게 된다.
서비스
각 디자인 영역별로 좋은 ux를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서비스의 전체적인 ux가 매력을 주지 않으면 안된다.
*상세한 서비스 기획에 앞서 가치를 도출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활동이 필요
사용자들이 원하는 가치 속에서 전략을 발굴하고 실행
ux
사용자 문제 -> 해결방법 (아이디어-시나리오-프로토타입)
사용자 문제
(1) 프로세스 중심 - 실제 조사
(2) 원칙 중심 - 심리학이나 사용성, 게슈탈트 원리, 인터랙션 디자인원칙
(3) 트렌드 중심
전반부 - 리서치(research)와 인사이트(insight)
후반부 - 콘셉트(concept)와 디자인(design)
user(사용자)
(1) 사람으로서 겪는 경험
-보편적인 특성
-심리학, 인간공학, 게슈탈트 이론
-휴리스틱, 편향
(2) 사회인으로서 겪는 경험
-트렌드
-세대적 특성
(3) 사용자로서 겪는 경험
-이용 통계나 설문조사
-특성 제품/서비스 기준
(4)
설문조사로 알 수 있는 사용자 특성
-이용형태 : 해당 서비스(군)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
-맥락 : 사용 장소, 시간, 상황에 대한 파악
-의견/만족도 : 해당 서비스(군)에 대한 만족도나 만족도 파악
-태도 : 해당 서비스(영역)에 대한 정서적 이미지, 관심 또는 우려사항
-기술적 태도 : 신기술에 대한 수용도, 태도
(5)통계분석으로 알 수 있는 사용자 특성
-유입,유출 경로
-이동 경로
-관심사
-탐색 행위
통계분석
- 이것이 UXUI 디자인이다 책 공부 - ① 2024.07.30 1
이것이 UXUI 디자인이다 책 공부 - ①
2024. 7. 30. 10:24
반응형